“다들 한 번쯤 늦잠 때문에 수업이나 약속에 늦은 기억이 있을 겁니다. 저도 그런 학생 중 하나였죠. 도대체 잠이라는 게 무엇이길래 내 인생에 이렇게 지장을 주는 걸까. 이런 고민이 일주기 리듬에 대한 관심의 시작이...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지속가능화학 연구실에는 여느 연구실에서 보지 못했던 실험 장비가 있었다. 마치 식물의 뿌리처럼 긴 섬유 가닥이 물이 담긴 비커 안에 뻗어있었다. 김성균 DGIST 화학물리학과 교수는 친환경...
테이블에는 손톱만큼 작은 금빛 반도체가 놓여 있었다. 반도 체 안에는 전기가 아닌 빛이 돌아다니는 길이 그려져 있었다. 이처럼 빛이 신호를 전달하는 반도체를 광반도체라고 하고, 광반도체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분...
1월 5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에서 만난 박치영 DGIST 에너지공학전공 교수의 연구실엔 기사 스크랩이 가득했다. 새로운 분야에 도전해보고자 관심 있는 연구를 하나둘 모으다 보니 많아졌다고 했다. 실제로 그의 연...
알츠하이머, 자폐, 조현증 …. 불치라 여겨졌던 뇌 질환 치료의 실마리를 찾는 것은 인류가 얼마나 기다려왔던 일인가! 뇌 기능을 매개하는 기본단위인 시냅스에 관한 연구에 전념해 온 고재원 교수. 그는 시냅스 접착 ...
각기 다른 장단점을 가진 두 요소를 융합하면 때로는 상승작 용을 일으켜 의외의 결과가 나오기도 한다. 융합 연구의 장점 이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에는 이런 과정을 통해 의 료현장에서 쓰이는 기술의 발전을 꿈꾸는 ...
“유기합성 연구는 아주 작은 로봇을 설계하는 과정과 비슷합 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무언가를 설계하고 조금씩 바꿔가며 우리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만드니까요.” 9월 30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유...
“흔히 ‘마음의 병’이라 부르는 정신 질환은 현대 사회를 사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겪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쓰이는 치 료제에는 여전히 개선해야 할 부분이 많습니다. 뇌의 비밀을 풀어 정신 질환의 새...
“동물과 식물은 얼마나 닮았을까요. 그동안 적어도 노화 과정만큼은 동물과 식물이 많이 다를 것이라고 생각해 왔어요. 하지만 최근에는 동식물을 넘어 모든 생물에 적용되는 노화 의 비밀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
Q1. 안녕하세요. 간단한 본인 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올해 2월에 DGIST를 졸업하고 과학기술전문사관으로 복무중인 김규보입니다. brain science, nano material, virtual reality 등에 관심을 가지고 있고요. 매트릭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