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GIST 박진희 교수팀, 다양한 자극에 반응하는 새로운 금속유기구조체(MOFs) 개발해 불안정한 라디칼 상태 시각화 - 친환경 센서, 촉매, 전지 등 다양한 분야의 물질 설계 및 적용 기대돼 [(오른쪽부터) DGIST...
- DGIST 고재원 교수팀, '트렌즈 뉴로사이언즈'에 오피니언 논문 게재 - 신경회로 특성을 규정하는 시냅스 접착 연구분야 기존 연구의 문제점을 조망하고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 및 미래 연구방향 제시 [(왼쪽부...
- 열화현상 개선되고 수명 긴 리튬이온배터리 실현 가능 - 체계화된 원인분석 시스템, 다양한 이차전지에 적용 기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DGIST 에너지공학과 이호춘 교수, 박종원 박사과정생] DGIST(총장 국...
- DGIST 에너지공학과 최종민 교수팀,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태양전지의 광 흡수 능력과 광전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나노구조체 전극 개발 - 태양전지를 비롯한 유기 전하 전달층을 이용하는 다양한 광전소자에 적용할 수 있...
- DGIST 이성원, 장경인 교수팀, 일상생활에서 작은 인체의 움직임을 이용한 고효율 전기 발전장치 개발 성공 - 연속적인 에너지 축적을 이용하여 배터리 없이 장시간 생체 신호 모니터링이 가능한 건강 진단 시스템 실현에 한...
- 홀로그래피 영상 트래킹 기반으로 심장근육세포의 박동패턴 등을 단일세포 단위로 자동분석 하는 기술 개발 - 투여 약물에 따른 심장근육세포 운동성에 대한 이질적 특성 분석 가능해...환자 맞춤형으로 심장 치료에 도움...
- DGIST 문제일 교수와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이성용 교수 연구진의 공동연구를 통해 뇌졸중 치료제 후보물질을 개발 - 각종 부작용을 줄인 허혈성 뇌졸중 치료제 후보물질로서의 약물 유효성과 혈액 안전성 검증 [(오...
- DGIST 김경진 교수팀, 파킨슨병에서 비롯된 일몰증후군과 일주기 생체시계와의 분자적 연결고리 규명 - 파킨슨병의 일주기 정서장애를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약물 발굴 [(왼쪽부터) DGIST 뇌과학과 김경진 교수, 김...
- DGIST 화학물리학과 김철기 교수팀, 단일 세포의 물리적 변수 및 개수에 따라 원하는 세포 간의 조합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다중 자성 기반 세포 집게 플랫폼 개발 - 암 전이, 면역항암제 및 개인 맞춤형 약물개발 등의 차세대 ...
- 발광층 내부에 전극 삽입으로 평면형 투명전극 제거 및 고휘도 발광 구현 - 다양한 변형에도 밝기 및 내구성 강해, 추후 다양한 웨어러블 섬유 및 기기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DG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