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메뉴영역

주메뉴영역

혁신으로 세상을 바꾸는 융복합 대학, DIGIST
Innovative University Changing the World through Convergence
이 페이지를 SNS로 퍼가기

프로필

국양 DGIST총장 모습
DGIST총장  국 양

DGIST 제4대 총장으로 선임된 국양 총장은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同 대학교에서 물리학 석사, 미국 펜실베니아 주립대에서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 총장은 미국 AT&T Bell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재직(1981~1991년) 중 나노미터 규모의
초미시 세계를 확대해 볼 수 있는 주사터널링현미경(1/2)을 개발하고 연구에 사용하여
나노과학분야의 선구자로 평가 받아 왔다.

이표는 tel, e-mail 정보를 제공합니다.
Tel 053-785-1000
E-mail ykuk@dgist.ac.kr

주요 학력

이표는 년도에 따른 주요 학력 정보를 제공합니다.
1978.9 ~ 1981.8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물리학, 이학박사
1975.3 ~ 1977.2 서울대학교 물리학, 이학석사
1971.3 ~ 1975.2 서울대학교 물리학, 이학사
1968.3 ~ 1971.2 경기고등학교

주요 경력

이표는 년도에 따른 주요 경력 정보를 제공합니다.
2019.4 ~ DGIST 총장
2018.4 ~ 2019.3 이화여자대학교 초빙석좌교수
2014.7 ~ 2019.3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이사장
2008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2006.8 ~ 2008.7 서울대학교 연구처장
2002.3 ~ 2004.12 대한민국과학기술위원회 나노전문위원회 위원
1991.3 ~ 2018.2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부교수/교수
1981.9 ~ 1991.2 미국 AT&T Bell연구소 연구원

주요 상훈

이표는 년도에 따른 주요 상훈 정보를 제공합니다.
2008 인촌상 자연과학 부문
2006 교육인적자원부 선정 대한민국 ‘국가석학’지정
2004 대한민국 학술원상,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자상
2002 나노과학자상
1980 E. W. Muller Young Scientist Award(IFES 학회),
미국진공학학회 우수 대학원생 상

소개

DGIST 제4대 총장으로 선임된 국양 총장은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同 대학교에서 물리학 석사,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에서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 총장은 미국 AT&T Bell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재직 중 나노미터 규모의 초미시 세계를 확대해 볼 수 있는 주사터널링현미경(STM)을 개발해 나노과학연구에 사용하며, 나노과학분야 선구자로 평가 받고 있다. 귀국 후,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부교수, 정교수를 역임하였고, 同 대학교 연구처장으로 근무하며 연구행정능력을 인정받았다. 수상경력으로, 교육인적자원부와 한국학술진흥재단의 국가 석학 10명에 선정되었고, 인촌상 자연과학부문을 수상했다. 2014년부터는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이사장직을 맡아, 국내 최대 민간 연구 지원 기관의 책임자로 국내학자들에게 창의적 연구 지원을 하여 왔다. 2018년 4월에는 이화여대 석좌교수로 부임하여 양자나노과학 연구를 수행하였다. 2019년 4월부터 DGIST 4대 총장으로서, 독창적인 융복합 교육과 창의적 연구를 수행하는 작지만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과학 기술 대학으로 만들어 갈 계획이다.

콘텐츠 담당 담당부서  :   총장실 ㅣ 053-785-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