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DGIST대학원

sitemap

주메뉴영역

주메뉴영역

DGIST ADMISSION
이 페이지를 SNS로 퍼가기

학과소개

N

뉴바이올로지학과

인류 문명의 영속성을 위한 차세대생명과학의 기술 패러다임을 창조하다

New Biology학과는 생명과학과 물리, 수학, 공학, 컴퓨팅 등 다양한 과학, 기술 분야 및 인문 사회과학 등과의 융복합적 접근을 통해 기존의 생물학을 뛰어넘는 복잡계 생명현상 등 창조적 차원에서의 학문과 기술을 추구합니다.

전화
053-785-1945
홈페이지
http://newbiology.dgist.ac.kr/kor
팩스
053-785-1819

발달과 세포신호전달 연구실 Lab of Cell Signaling and Development

홈페이지 바로가기
연구분야
환경인자 및 내재 프로그램에 의한 식물의 성장과 발달의 원리 (유전학적, 후생유전학적) 연구
단일세포 제노믹스 연구
세포신호전달 원리 및 발달프로그램 규명
이차 신호물질에 의한 세포 네트워크 규명
지도교수
곽준명 교수
최종학위 : POSTECH 이학박사
전화 : 053-785-1860
메일 : jkwak@dgist.ac.kr
연구실 연락처
성명 : 김성환(대학원생)
메일 : korea8133@dgist.ac.kr

뇌-면역 축 연구실 Brain-Immune Axis Laboratory

홈페이지 바로가기
연구분야
감염 및 염증
암에서의 뇌-면역 상호작용
뇌-대사 조절
뇌-장내미생물-장 상호작용
관련 분야 질병 치료
지도교수
구재형 교수
최종학위 : 연세대학교 이학박사
전화 : 053-785-6112
메일 : jkoo001@dgist.ac.kr
연구실 연락처
성명 : 이채은(석박통합과정)
메일 : gpchaen@dgist.ac.kr

유전체 불안정성 및 암 신호전달 연구실 Genomic instability Lab

홈페이지 바로가기
연구분야
유전체 항상성조절 및 신호전달
DNA 복제 스트레스, 손상복구
항암 메커니즘
단백질 상호작용과 항상성
지도교수
기영훈 교수
최종학위 : 텍사스 주립대학 이학박사
전화 : 053-785-1610
메일 : ykee@dgist.ac.kr

나노바이오메디슨연구실 BioDr.Lab-Nanobiomedicine

홈페이지 바로가기
연구분야
나노바이오공학
나노메디슨
노화 재생기술
차세대 체외진단(IVD)
생체모사시스템
BioMEMS
지도교수
김민석 교수
최종학위 : KAIST 공학박사
전화 : 053-785-1740
메일 : kms@dgist.ac.kr
연구실 연락처
성명 : 아싈 인티잘 타수누프(석박통합과정)
메일 : aseerintisar@dgist.ac.kr

큐바이오 정밀의학 연구실 Laboratory for QBIO and Precision Medicine

홈페이지 바로가기
연구분야
고분해능질량분석을 이용한 단백질분석기술개발
질량분석기반 단백체학 및 암유전단백체연구
단백체 역학연구를 통한노화이해
단백체 PTM 분석기술 개발을 통한 세포신호전달이해
임상질량분석 분석기술 개발 및적용
멀티오믹스 분석기술 개발을 통한분자생물학의 중심원리 이해
지도교수
김민식 교수
최종학위 :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이학박사
전화 : 053-785-1630
메일 : mkim@dgist.ac.kr
연구실 연락처
성명 : 도예지(연구원)
메일 : yejjy@dgist.ac.kr

분자후성유전학 연구실 Molecular Epigenetics Lab

홈페이지 바로가기
연구분야
단분자 이미징을 이용한 단백질 다이나믹스 연구
크로마틴 구조형성 및 변화 메커니즘 연구
세포 스트레스에 대한 유전체 항상성 연구
세포핵 조직 분석을 통한 노화와 질병 진단 방법 개발
지도교수
김유리 교수
최종학위 : 텍사스 주립대학 이학박사
전화 : 053-785-1650
메일 : yoori.kim@dgist.ac.kr

단백질 구조 노화 연구실 Lab of Protein Structure Aging

홈페이지 바로가기
연구분야
노화 및 질병에 따른 단백질 구조 변화 연구
단백질 잘못 접힘 현상에 대한 구조적인 특성 및 질병 관련성 연구
단백질의 구조적 이해에 기반한 치료물질 및 전략 개발
구조 변화를 매개하는 단백질 간 상호작용 연구
단백질 구조 분석 및 그와 관련된 기능 연구
지도교수
김진해 교수
최종학위 : University of Wisconsin at Madison 이학박사
전화 : 053-785-1770
메일 : jinhaekim@dgist.ac.kr
연구실 연락처
성명 : 시진범(석박통합과정)
메일 : susilia@dgist.ac.kr

노화와 면역 연구실 Aging and Immunity Lab (AIM Lab)

홈페이지 바로가기
연구분야
노화 과정에서 발현되는 면역학적 변화에 대한 연구
항노화 기전과 대사 과정의 연관에 대한 연구
박테리오파지 변형을 통한 친환경 소재 개발
항균펩타이드 개발
지도교수
남창훈 교수
최종학위 : 퀴리연구소, 이학박사
전화 : 053-785-6618
메일 : chang@dgist.ac.kr
연구실 연락처
성명 : 이지한 (석사과정)
메일 : wlgks3848@dgist.ac.kr

바이오치료제 디자인 랩 Bio-therapeutics Design Lab

홈페이지 바로가기
연구분야
항체 치료제 개발
세포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 엑소좀) 치료제 개발
지도교수
예경무 교수
최종학위 : POSTECH 이학박사
전화 : 053-785-1760
메일 : ykm31@dgist.ac.kr
연구실 연락처
성명 : 정인성(석박통합과정)
메일 : dlstjd96@dgist.ac.kr

식물분자커뮤니케이션 연구실 Lab of Plant Molecular Communication

홈페이지 바로가기
연구분야
식물 스트레스반응의 분자유전학적 조절메커니즘
Small peptide에 의한 식물노화 및 스트레스 반응
miRNA에 의한 식물 노화의 후성학적 조절메커니즘
잎의 성장과 노화의 molecular coordination program
식물 meristem cell(줄기세포)의 분열 및 노화 메커니즘
지도교수
우혜련 교수
최종학위 : POSTECH 이학박사
전화 : 053-785-1870
메일 : hrwoo@dgist.ac.kr
연구실 연락처
성명 : 박상훈(석박통합과정)
메일 : actial100@dgist.ac.kr

단백질 항상성 및 신약개발 연구실 Lab of Protein Homeostasis and Drug Discovery

홈페이지 바로가기
연구분야
유비퀴틴-프로티아좀 시스템
‘단백질분해 유도‘를 통한 새로운 치료 전략 개발
단백질 항상성 유지
단백질질병에 대한 신약 타겟물질 발굴
신약 스크리닝 및 개발
지도교수
이병훈 교수
최종학위 : University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Dallas 이학박사
전화 : 053-785-1730
메일 : byung-hoon_lee@dgist.ac.kr
연구실 연락처
성명 : 문성현(석박통합과정)
메일 : t7t7t4t8@dgist.ac.kr

통합동물생태학연구실 Lab of Integrative Animal Ecology

홈페이지 바로가기
연구분야
동물이 갖는 형태, 행동 등 표현형의 다양성과 그 적응적 가치를 다학문적 접근을 통해 규명
세부분야
야생조류의 번식 및 인지생태
조류와 곤충의 구조색
조류와 곤충의 기능형태
지도교수
이상임 교수
최종학위 : 서울대학교 이학박사
전화 : 053-785-6613
메일 : sangim@dgist.ac.kr

노화기전연구실 Senescence-Associated Mechanism Lab (SAM Lab)

홈페이지 바로가기
연구분야
동물 세포 노화기전 규명
DNA 복제 및 수선 관련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 해석
지도교수
이영삼 학과장
최종학위 :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이학박사
전화 : 053-785-1880
메일 : lee.youngsam@dgist.ac.kr
연구실 연락처
성명 : 양은제(석박통합과정)
메일 : rob2659@dgist.ac.kr

노화대사생리연구실 Lab of Aging, Metabolism and Physiology

홈페이지 바로가기
연구분야
대사 생리
당뇨 및 비만
뇌에 의한 에너지 대사 조절
호르몬에 의한 대사 조절
세포 내 스트레스 관련 신호 전달
지도교수
이재민 교수
최종학위 : University of Michigan 이학박사
전화 : 053-785-1750
메일 : jaeminlee@dgist.ac.kr

단분자 생물물리 및 바이오이미징 연구실 Laboratory of Single-molecule Biophysics and Advanced Bioimaging

홈페이지 바로가기
연구분야
세포 내 액체-액체 상분리, 단백질 방울 연구
초고분해능 현미경 개발
단일 mRNA, non-coding RNA 이미징
단분자 생물물리학 (smFRET, SiMPull, etc)
지도교수
이종찬 교수
최종학위 : POSTECH 이학박사
전화 : 053-785-1780
메일 : jclee@dgist.ac.kr
연구실 연락처
성명 : 김진광(석박통합과정)
메일 : akfls2870@dgist.ac.kr

바이오인터페이스구조 및 피부 연구실 Biointerface Structure and Skin Lab

홈페이지 바로가기
연구분야
피부 및 외피계, 각종 분비조직 등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바이오시스템의 구조 및 기능 연구
바이오인터페이스의 구조와 기능을 모사하는 모델 시스템 디자인 및 제작
중간섬유 단백질을 포함하는 주요 표적 단백질의 구조, 기능 및 설계 연구
질환 표적 단백질의 구조기반 신약설계
지도교수
이창훈 교수
최종학위 : 이학박사,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전화 : 053-785-6612
메일 : leech@dgist.ac.kr

식물노화 연구실 Plant Senescence Laboratory

홈페이지 바로가기
연구분야
RNA 기반 식물노화조절 네트워크
식물 생체시계와 노화조절
식물 생체정보 계산
식물노화조절(리프로그래밍) 기술 개발 및 생산성 향상 응용 연구
지도교수
임평옥 교수
최종학위 : Michigan State University 이학박사
전화 : 053-785-1830
메일 : polim@dgist.ac.kr
연구실 연락처
성명 : 정석준(석박통합과정)
메일 : jsjoon0719@gmail.com

줄기세포 및 암정밀의학 연구실 Lab of Stem Cell Biology & Cancer Precision Medicine

홈페이지 바로가기
연구분야
줄기세포 및 재생의학적 치료
오가노이드 및 기관형성과정
암줄기세포
암표적치료
줄기세포 및 암의 미세환경
지도교수
정영태 교수
최종학위 : Johns Hopkins University 이학박사
전화 : 053-785-1620
메일 : jyt@dgist.ac.kr
연구실 연락처
성명 : 명지현 (석박통합과정)
메일 : mjh8389@dgist.ac.kr

암 후성유전학 연구실 Cancer Epigenetics Lab

홈페이지 바로가기
연구분야
암의 후성유전적 변화 연구
종양에서의 신진대사 조절 및 유전적 변이 연구
신진대사와 후성유전학의 상호 작용
후성유전적 방법을 타겟으로 한 암치료 방법 개발
지도교수
정찬 교수
최종학위 : University of Michigan, 이학박사
전화 : 053-785-1660
메일 : chungc@dgist.ac.kr
연구실 연락처
성명 : 박지윤 (석사과정)
메일 : jiyoon00@dgist.ac.kr

T세포생물학 및 면역치료 연구실 Lab of T-cell Biology and Immunotherapy

홈페이지 바로가기
연구분야
종양 면역학 및 면역치료
CD4+ 세포독성 T세포
인체 공생바이러스로서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지도교수
최일규 교수
최종학위 : 연세대학교 이학박사
전화 : 053-785-1670
메일 : ik_choi@dgist.ac.kr
콘텐츠 담당 담당부서  :   뉴바이올로지학과 ㅣ 053-785-1943
(우)42988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테크노중앙대로 333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대학본부 입학팀Tel. 053-785-5143   |   Fax. 053-785-5500   |   E-mail. admission@dgist.ac.kr

COPYRIGHT© 2018 DGIST. ALL RIGHTS RESERVED.